1. 중앙값은 어떤 주어진 값들을 크기의 순서대로 정렬했을 때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값을 의미합니다. 예를 들어 1, 2, 7, 10, 11의 중앙값은 7입니다. 정수 배열 array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중앙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할 것
def solution(array):
return sorted(array)[len(array) // 2]
- sorted(array)
: 입력 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렬, 정렬된 새로운 배열 출력
- len(array) // 2
: 정수 나눗셈
- []
: 정렬된 값에서 특정 위치의 값을 가져오기 위해 사용
2. 최빈값은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자주 나오는 값을 의미합니다. 정수 배열 array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최빈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. 최빈값이 여러 개면 -1을 return
def solution(array):
num = 0
most_common= 0
for i in set(array):
if array.count(i) > num:
num = array.count(i)
most_common= i
elif array.count(i) == num:
most_common = -1
return most_common
- num : 최빈값 등장 횟수
- most_common : 최빈값
- set(array)
: 배열 내 중복 값 제거
3. 정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n 이하의 홀수가 오름차순으로 담긴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기
def solution(n):
return [i for i in range(1, n + 1) if i % 2 != 0]
- (1,n+1)
: 1부터 n까지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 : pivot(피벗) 및 결과 그래프 한 눈에 보기 (0) | 2025.06.15 |
---|---|
Python: 그래프 디자인(그리드, 그래프 내 텍스트, 범례 설정, 단위 수정) (1) | 2025.06.14 |
Python: 데이터 매핑 및 시각화 (0) | 2025.06.14 |
Python: 웹 크롤링 (2) | 2025.06.14 |
1. 두 수 몫 구하기, 두 수의 나눗셈 , 숫자 비교하기, 분수 덧셈, 배열 2배 만들기 (Python) (0) | 2024.10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