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결측값
R에서 결측값은 NA 또는 NaN으로 표시
NaN은 정의되지 않은 수학 연산에서 사용 (NA는 이곳 저곳)
NA는 잠재적으로 다른 클래스를 가질 수 있으므로
NaN 값도 NA가 될 수 있지만 NA값이 반드시 NaN값이 될 수 는 없다.
is.na() - 객체가 NA인지 테스트하는 함수
is.nan() - 객체가 NaN인지 테스트하는 함수
x <- c(1, 2, NA, 10, 3) #숫자벡터
is.na(x) #논리벡텉
[1] FALSE FALSE TRUE FALSE FALSE
is.nan(x)
[1] FALSE FALSE FALSE FALSE FALSE #NAN 값이 없기 때문/NA값이 NAN 값이 될 수 는 없다.
x <- c(1, 2, NaN, NA, 4)
is.na(x)
[1] FALSE FALSE TRUE TRUE FALSE #NAN 값이 NA 값이 될 수는 있다.
is.nan(x)
[1] FALSE FALSE TRUE FALSE FALSE
2. 데이터 프레임
- 데이터 프레임의 각 열을 목록 요소로 간주할 수 있다.
- 테이블이 되기 위해 모든 열의 길이는 같아야 하나, 같은 유형일 필요는 없다.
- read.table() / read.csv() => 데이터 프레임 호출 함수
- data.frame() => 데이터 프레임 호출 함수
x <- data.frame(foo=1:4, bar=c(T,T,F,F))
x
foo bar
1 1 TRUE
2 2 TRUE
3 3 FALSE
4 4 FALSE
nrow(x)
[1] 4
ncol(x)
[1] 2
- data.matrix() => 데이터 프레임에서 행렬ㅇ르 만드는 함수
'R 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6. R - 표 형식 데이터 읽기 (0) | 2025.04.14 |
---|---|
15. 데이터 유형 - 이름속성 (0) | 2025.04.14 |
13. 데이터 유형 - 팩터 (0) | 2025.04.13 |
12. 데이터 유형 - 행렬 (0) | 2025.04.13 |
11. R콘솔 입력 및 데이터 유형(벡터, 목록(List)) (0) | 2025.04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