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질문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보유하는 것이 유리하다.
-데이터에 있는 약간의 부정확함은 데이터의 절대적인 규모로 그 영향력이 상쇄 가능하다.
-빅데이터는 '왜'가 아닌 '무엇'에 대한 답을 제공한다.
-올바른 질문과 적합한 데이터를 찾아야한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1강좌 실습 과제 후기
크게 3 문항 정도의 실습 형태로 제공된다.
그 동안 배운 내용들이라서 강의 자료를 잘 정리해 두었다면, 난이도는 어렵지 않았다.
실습 과제를 하면서 느낀 것은 "꼼꼼함'
최종과제를 제출하고, 다른 학생 과제를 평가해보는 시간이 스스로에게 좋은 피드백이 되었다.
<보완 할 점>
1. 파일 확장명 정확히 보기 (.rmd/.md)
2. terminal과 bash에 입력할 때, git 놓치지 않기
오늘 활용한 git bash 코드
1. 경로에 공백이 있는 경우
$ cd~/Desktop/Fist_project
$ cd~/"Desktop/First project"
2. 현재 디렉토리 파일 목록 확인
$ ls
3. 디렉토리에 파일 없는 경우, 파일 생성하기
$ touch HelloWorld.Rmd
4. 원격 저장소 변경사항 가져오기
$ git pull origin main
5. 원격 저장소를 완전히 덮어쓰고 싶은 경우 (단, 기존 원격 저장소 내용은 삭제)
$ git push -f origin main
6. 현재 원격 저장소 설정 제거
$ git remote remove origin
Git Bash 화면
'R 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1. R콘솔 입력 및 데이터 유형(벡터, 목록(List)) (0) | 2025.04.11 |
---|---|
10. R 코드 작성 (작업 디렉터리 설정/텍스트 편집기)- Windows (0) | 2025.04.10 |
08. 실험 설계 용어 (0) | 2025.04.05 |
07. 데이터 분석 종류 (0) | 2025.04.05 |
06. R Markdown (0) | 2025.04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