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 프로그래밍

16. R - 표 형식 데이터 읽기

작심반복하기 2025. 4. 14. 12:02

1. 데이터 읽기 

read.table(), read.csv() => 테이블 형식의 데이터를 읽기 위한 용도 

(read.table의 기본 구분 기호는 공백, read.csv의 기본 구분 기호는 쉼표)

read.lines() => 여러 줄의 텍스트 파일을 읽기 위한 용도 (어떤 유형의 파일이든 R에서 문자벡터로 텍스트 제공)

source() => R코드를 읽는 용도 (모든 코드를 R로 읽음) 

dget() => R코드 파일을 읽는 데 중요하지만, 텍스트 파일(d파싱된 R객체를 읽기 위한 것) 

unserialize() => 이진객체를 R로 읽어들이기 위한 용도 

 

 

2. 데이터 작성 유사 함수 

write.table() 

write.Lines()

dump()

dput()

save()

serialize() 

 

+) sep 인수는 구분 기호를 나타낸다. 열이 구분되어 있는 지를 나타내는 문자열 

+) colClasses는 데이터 세트 열의 수와 길이가 같은 문자벡터 

+) comment.char은 무엇이 주석 문자인지 나타내는 문자열 

+) skip은 처음부터 건너뛰는 줄의 수 

 

3. 큰 표 읽기 

#첫 100개 행 읽기 지정 
initial <- read.table("datatable.txt",nrows=100)

#각 열에 어떤 클래스 데이터가 있는 지 알려줌 
classes <- sappy(initial, class) 
tabAll <- read.table("datatable.txt", colClasses = classes)

sapply() -> 클래스 함수 호출